왜관=이호 기자 number2@donga.
근대화 프로젝트를 주도했던 세력과 식민지화를 주도한 세력이 다르기 때문에 두 논쟁은 다른 듯하지만.해답은 하나에 있지 않다.
내부 문제로 무너져가고 있었던 러시아가 대한제국을 도와줄 수 없었다.그 결과로서 맺어진 조약의 1조는 강화도 조약 1조와 함께 조선은 독립국이라는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다.이들은 일본의 한반도 내정 개입이 조선을 강한 국가로 자립하게 함으로써 중국과 러시아의 일본에 대한 위협으로부터 조선이 완충지대가 되도록 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주장한다.
일본을 모델로 삼은 개화파 지식인 조선뿐만 아니라 중국과 베트남의 청년들에게도 당시 일본은 이상적인 국가였다.『월남망국사』가 베스트셀러였던 시대였다.
박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한국 역사학계에서 사회적 관심을 끄는 논쟁이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권에서 논쟁이 시작되었으니 감사하다고 해야 할지도 모를 일이다.그들끼리의 파티가 될 우려에서다.
지금이 슘페터 모먼트라면 참 아쉬운 메시지들이다.사회 구조의 질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창조적 파괴의 순간.
공무원들에게 업무 효율을 높이는 데 쓰도록 검토하라고 했다고 한다.전 세계 수억 명이 AI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에 빠진 지금이 어쩌면 ‘슘페터 모먼트일지도 모른다